EC2 ( Elastic Computer Cloud) 란?
-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해 사용하는 서비스
즉, 하나의 컴퓨터를 의미한다.
EC2를 사용하는 이유 ?
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서 서버 컴퓨터가 필요한데 자신의 컴퓨터로 하기엔 보안적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AWS EC2라는 컴퓨터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
리전 (Region) 선택
1. 리전 선택 후 EC2 인스턴스 시작하기
리전 (Region) 이란 ?
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한 각각의 데이터 센터 ( EC2를 통해 빌리는 컴퓨터들이 실제 지리적으로 위치한 위치)
리전 (Region) 을 선택하는 기준 ?
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위치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.
(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수록 속도가 느려짐)
EC2 셋팅하기 - 기본설정
1. EC2 인스턴스 시작하기
2. 이름 및 태그
EC2 이름을 설정해준다.
3.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
사용할 OS 선택. 서버를 배포하느 컴퓨터는 가벼운 ubuntu를 많이 사용해서 ubuntu를 선택했다.
AMI는 사용가능한 것 중에 가장 최신을 선택했다.
4. 인스턴스 유형
인스턴스란 ?
AWS EC2에서 빌리는 컴퓨터 1대
인스턴스 유형이란?
컴퓨터 사양을 의미.
스터디용으로는 t2.micro도 적합하다고 하여 선택해주었다.
5. 키 페어
EC2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이름은 어떤 EC2에 접근하기 위한 키였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지정해준다.
생성하고나면 파일이 다운받아지는데, 유출되거나 잃어버리지 않도록 보관해야한다.
EC2 셋팅하기 - 보안그룹 설정
1. 네트워크 설정
보안그룹 (Security Group) 이란 ?
AWS 클라우드에서의 네트워크 보안을 의미한다
EC2 인스턴스 주위에 방화벽 역할을 할 보안그룹을 만들고, 보안그룹에 규칙을 지정한다. 규칙에는 인바운드 트래픽(Inbound traffic)* 과 아웃바운드 트래픽(Outbound traffic)* 에서 어떤 트래픽만 허용할지 설정할 수 있다.
허용할 IP범위와 포트(Port)를 설정해서 보안 그룹을 설정해준다.
※ 인바운드 트래픽 (Inbound traffic) : 외부에서 EC2 인스턴스로 보내는 트래픽
아웃바운드 트래픽 (Outbound traffic) : EC2 인스턴스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
[보안 그룹 규칙 추가]를 클릭해 보안 그룹 규칙을 추가해준다.
1. SSH , Port 22 : 원격으로 EC2에 접근하여 사용하기 위해 추가
2. HTTP, Port 80 : 백엔드 서버 띄우기 위해 추가
소스유형 : 어떤 IP에서든 전부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위치 무관으로 설정
2. 스토리지 구성
EBS ( Elastic Block Storage) 란?
EC2 안에 부착되어 있는 일종의 하드디스크
스토리지(Storage), 볼륨(Volume)과 같다.
프리티어에서 제공하는 최대가 30GB 이므로 30GB로 설정
[고급] 을 누르면 스토리지 구성에 대한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다.
인스턴스 만들기
생성된 인스턴스 확인
※ 리전(Region)이 달라지면 생성된 인스턴스가 보이지 않으니 리전 확인!
'AWS > 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비용 나가지 않게 EC2 깔끔하게 종료하기 (0) | 2024.07.15 |
---|---|
[AWS] Spring Boot 서버 EC2에 배포하기 (1) | 2024.07.15 |
[AWS] 탄력적 IP (Elastic IP) 란 ? & EC2에 탄력적 IP 연결 (0) | 2024.07.15 |
[AWS] 생성된 EC2 인스턴스 정보 확인 & EC2 접속하기 (0) | 2024.07.12 |
[AWS] 회원가입 및 프리티어 무료 계정 생성 (0) | 2024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