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 글로벌 인프라 구성
AWS 글로벌 인프라는 리전(Region), 가용영역(AZ, Availability Zones), 엣지 로케이션(Edge Location) 으로 구성되어있다.
1. 리전 (Region)
-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(묶어주는) 하는 물리적 위치
- 1개의 리전 => 2개 이상의 가용영역으로 구성 (보통 3~4개로 구성되어있음)
- 대부분 AWS 서비스는 리전 선택 후 시작(e.g. EC2) , 선택 안 하는 서비스도 있음(e.g. IAM)
- 재해복구(DR) 설계에서 사용 => 2개 이상의 리전에 시스템 배치 (e.g. 미국과 한국 2개의 리전에 배치할 경우, 하나가 망가져도 다른 리전이 있기 때문에 이상없음)
2. 가용 영역( AZ , Availability Zone)
- 하나 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
- 가용영역끼리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고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됨
- 고가용성 설계는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에 시스템 배치해서 각종 재해에도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.
3. 엣지 로케이션 (Edge Location)
- 콘텐츠(데이터)를 캐싱하여 사용자에게 더 짧은 지연 시간을 콘텐츠를 전송 e.g. AWS CloudFront, Global Accelerator
- 일반적인 전송 ⇒
- 사용자가 데이터 요청 → 서버가 있는 리전의 오리진에서 전송 (e.g. 리전은 서울이고 사용자가 미국인 경우, 속도가 상당히 느림)
- 엣지 네트워크 전송 ⇒
- 사용자가 데이터 최초 요청 → 서버가 있는 리전의 오리진에서 사용자와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으로 전송 → 그 엣지 로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송
→ 이후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엣지 로케이션에서 그대로 전송 (속도가 빠름)
- 사용자가 데이터 최초 요청 → 서버가 있는 리전의 오리진에서 사용자와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으로 전송 → 그 엣지 로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송
'AWS > SAA 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SAA-C03 #5, ELB(Elastic Load Balancing)란? (정의, 종류, 구성) (1) | 2024.11.21 |
---|---|
[AWS] SAA-C03 #4, EC2란? (보안그룹, 탄력적IP, AMI, 배치그룹, 라이프 사이클) (3) | 2024.11.14 |
[AWS] SAA-C03 #3, EC2란? (개념, 구매옵션, 유형) (0) | 2024.11.11 |
[AWS] SAA-C03 #2, IAM 이란? (개념, 자격 증명, 사용자, 그룹, 역할 및 정책) (1) | 2024.11.04 |